본문 바로가기
Man Cave

헝그리 아마추어의 사진 강좌 3부 - 렌즈 구매 (1) 화각

by 대디베이 2019. 2. 11.

관련 글.

2019/02/07 - [Man Cave] - 헝그리 아마추어의 사진 강좌 1부 - 카메라 구매 (1) 크롭 바디

2019/02/10 - [Man Cave] - 헝그리 아마추어의 사진 강좌 2부 - 카메라 구매 (2) 미러리스

2019/02/20 - [Man Cave] - 헝그리 아마추어의 사진 강좌 4부 - 렌즈 구매 (2)

2019/03/05 - [Man Cave] - 헝그리 아마추어의 사진 강좌 5부 - 또 구매하기!






3. 렌즈 구매하기 (1). 화각 이해하기.


지난 두개의 글에서 카메라 바디 구매를 설명했습니다. 다시 요약하면, 렌즈교환식, APS-C 센서와 내장 플래쉬가 달린, 2천만 화소 이상의, 최신 모델.....로 구매하면 됩니다.


그러면, 평범한 사진사들은 여기에 어떤 카메라 렌즈를 구매하면 될지 설명해보겠습니다.


우선 렌즈를 이해하는 첫번째 단계는 "화각"이라는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화각이 크면 더 넓은 시야가 축소되어 사진에 담깁니다. 화각이 좁으면 좁은 시야가 확대되어 사진에 담깁니다.


화각을 나타내는 단위는 물론 '각도'입니다만, 카메라 렌즈 제조사는 전통적으로 '초점거리' 라는 수치를 사용해서 화각을 설명해 왔습니다. 하지만, 과거와 달리 다양한 센서 크기가 공존하는 오늘 날의 상황에서 '초점거리'는 그다지 적절한 단위가 아닐거 같습니다. 초점거리와 센서의 크기를 모두 고려해야 최종적인 이미지가 어떻게 보일지(화각)를 알 수 있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서, 


(1) 35mm 풀프레임 센서 + 300mm 초점거리 렌즈

(2) APS-C 센서 + 200mm 초점거리 렌즈


위의 두가지는 거의 동일한 "화각"을 가집니다. 


우선 초점거리와 화각은 반비례 합니다. 동일한 크기의 센서를 기준으로 개발된 두개의 렌즈를 비교해보면, 300mm 보다 200mm 렌즈가 화각이 더 큽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의 두가지 경우가 동일한 화각이 되는 이유는, APS-C 센서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200mm 렌즈의 화각의 중앙 일부분만 센서에 기록이 되기 때문에 화각이 줄어든것과 같이 보이기 때문이죠. 


심지어 처음부터 APS-C 센서의 크기 전용으로 개발된 200mm 렌즈라면, 처음부터 풀프레임용 200mm 렌즈보다 화각을 작게 개발합니다. 어차피 APS-C 센서는 풀프레임 면적 기준으로 중앙부 절반의 면적 수준이니까요. 다시 말해서, APS-C 렌즈 전용 200mm 화각은 사실상 풀프레임의 300mm 와 비슷한 수준의 화각을 가지고 만들어집니다.


애초에 카메라 렌즈에 화각을 단위로 스펙을 기록하면 참 좋았을텐데, 역사적으로 초점거리를 기준으로 스펙을 기록하는 관습이 있다보니, 우리는 카메라 렌즈를 구입할때 렌즈에 적힌 초점거리를 자신이 보유한 바디의 센서 크기를 고려해서 최종적인 화각을 계산해낼 수 밖에 없는 불편함을 감수해야합니다.


크롭바디를 사용하는 사람은 자신이 가진 센서의 crop  비율을 이용해서 35mm 풀프레임 기준 환산 화각을 계산할수 있습니다.


35mm 풀프레임 기준 환산 화각 계산하는 요령. 


APS-C 센서는 렌즈의 초점거리에 대략 1.5를 곱하면 얼추 풀프레임 기준 환산 화각을 알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PS-C 센서에 200mm 초점거리 렌즈를 끼우면, 200x1.5 = 300mm 정도의 환산 화각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 글에서는 별다른 표시가 없을 경우, 화각을 표현하는 단위로써 "35mm 풀프레임 환산 화각"을 이용하겠습니다. 




3-1. 화각에 따른 렌즈의 분류


3-1-1 표준


전통적으로 35mm-50mm 수준의 초점거리를 가진 렌즈를 표준 화각 렌즈라고 부릅니다. 줄여서 그냥 표준 렌즈라고 부르지요. 사람의 눈의 시야각과 비슷하다고 해서 표준 렌즈라는 설명이 많이 보이던데...이건 적절한 설명은 아닙니다. 사람의 눈은 시야각이 무척 넓거든요. 좀 더 다듬어서 표현하자면, 



35mm-50mm 정도의 화각을 가지는 표준 렌즈는 사람의 눈의 시야각 중에서, 주변부 시야를 제외하고, 중앙부 시야의 시야각과 비슷한 수준의 화각을 가집니다.



라고 하는 편이 더 나은 설명일거 같습니다. 물론 이마저도 정확한 근거가 있는것은 아니고, 그냥 대충 그런 느낌적인 느낌인거 같아...수준의 설명이긴 합니다. 사진은 과학이 아니라 예술의 영역이니까, 이 정도 설명이면 정확하지는 않아도 충분히 실용적인 설명인거 같긴 합니다.


그러면, 표준 화각이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화각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실제로 사진을 찍어보면 표준 화각 보다 넓은 광각과 표준 보다 좁은 망원 화각을 주로 사용합니다. 아이폰의 환산화각은 28mm 입니다. 표준 화각보다 더 넓은 시야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근데, 우리가 스마트폰으로 사진 찍을 때 항상 줌 (또는 크롭) 을 하지는 않아도 딱히 사진에 불만이 없는 이유는, 28mm 화각이 꽤 적당한 화각이기 때문입니다. 아이폰 만들때 애플사에서 당연히 많은 사진을 연구해서 사람들이 가장 흔히 사용하는 화각으로 결정을 했을테니까, 28mm 가 통계상 가장 사용하기 편리한 화각이라는 점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사실 제 생각에, 표준 화각의 장점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 렌즈 크기가 작다.


보통 표준 화각 크기의 렌즈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휴대하기에 용이합니다. 광각/망원으로 갈수록 렌즈의 크기가 크고 무거워집니다.


* 렌즈 교환을 안해도 된다.


위에서, 사람들은 보통 광각과 망원 화각의 두가지를 주로 사용한다고 했습니다. 따라서, 렌즈를 딱 하나만 사용해야 하는 경우라면, 표준 하나만 사용하면 됩니다. 렌즈 교환없이 피사체의 앞뒤로 이동을 하면서 적당한 화각을 확보하면 되니까요. (물론 그게 가능한 상황이라는 전제하에)


50mm 같은 표준 화각 렌즈는 크기가 매우 작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실용성이 없는 화각이라서 추천은 못하지만, 이 렌즈 하나만 가지고 다닐거라면

괜찮은 선택일 수도 있겠군요. 발로 열심히 움직여서 원하는 구도를 찾는게 

"어느 정도는" 가능하니까요.





위의 두가지 장점의 공통적인 한가지 원리는 "표준 화각 렌즈는 휴대성이 좋다"라는 점입니다. 작은 렌즈 하나만 들고 다니면서 모든 구도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으니까요. 따라서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같은 포토 저널리스트들은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서 표준 렌즈 하나만 달고 다닌 것으로 유명합니다.


사진 고수들은 흔히 명작은 표준 렌즈에서 나온다고 말을 합니다. 맞는 말이겠지만, 제 생각엔 이 명제의 원인과 결과를 좀 따져봐야할거 같습니다. 명작을 남긴 위대한 저널리스트 사진사들이 휴대성 좋은 렌즈를 찾다보니 표준 렌즈를 주로 사용해야했고 때문에, 그 덕분에 역사상 명작이 표준렌즈에서 나온것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결코 표준 렌즈 화각이 무슨 마법같은 효과가 있어서 명작을 만들어 낼 수 있었던것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저는 과감하게 표준 렌즈는 잊어버리라고 추천을 하겠습니다. 우리 같은 평범한 사람들에게, 표준 화각의 렌즈는, 매우 귀찮고 불편하기 때문입니다.





3-1-2 광각 


우리 같은 평범한 사진들이 가장 흔하게 사용하게 되는 화각이 바로 광각입니다. 20mm 보다 작은 수준의 초광각이 아니라, 아이폰과 같은 28mm 또는 그 근처의 화각이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화각입니다. 


인간의 눈은 사실 시야각이 매우 넓습니다. 하지만 중앙부 시야와 주변부 시야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피사체를 또렷이 볼 수 있는 중앙부 시야에 한해서 표준 화각이라는 표현이 나옷것일뿐, 주변부 시야까지 고려하면 인간의 눈은 기본이 매우 광각 렌즈와 같은 수준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사진을 찍을때 표준보다는 광각으로 찍어야 좀 더 눈으로 보는 것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배경을 잘 표현하려면, 표준으로는 어렵습니다. 무조건 광각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굳이 좋은 카메라 필요없이 스마트폰으로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80%의 상황이 바로 이 광각 영역입니다.



환산화각 28mm 의 아이폰 카메라. 

평범한 사람들이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제일 중요한 화각입니다.

출처 : https://www.bhphotovideo.com





3-1-2 초광각


20mm 이하의 광각으로 사진을 찍으면 이미지의 주변부가 매우 강조되서 보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강렬한 원근감을 느낄 수 있지만, 너무 주변부가 많이 보여서 조금 부자연스러운 느낌이 나기도 합니다. 초광각이 필요한 경우는 두 가지 경우입니다.


* 촬영 공간이 좁아서 어쩔수 없이 초광각이 필요한 경우.


실내에서 방 전체를 사진으로 찍고 싶다면, 평범한 광각 렌즈로는 어림도 없습니다. 이 경우 초광각 렌즈가 필요합니다. 유럽의 도시같이 좁은 거리에서 커다란 성당을 찍어야 한다면 마찬가지로 초광각 렌즈가 필요합니다.


* 극단적으로 입체적인 공간의 느낌을 표현하고 싶은 경우 


아래에서 설명을 하겠지만, 입체적인 느낌의 배경 사진을 찍으려면 배경에 내가 가까이 다가가야 합니다. 이 경우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촬영 공간에 제약이 발생합니다. 사진사가 배경과 너무 가까우니까요. 따라서, 마찬가지 이유로 초광각 렌즈가 필요합니다.



그럼, 초광각 렌즈를 하나 구매해야 할까요? 제 생각은 "필요없다" 입니다. 초광각 사진을 찍을 필요가 없다는 얘기가 아닙니다. 그냥 일반 광각 렌즈로 초광각 사진을 찍는 요령이 있으니, 굳이 초광각 렌즈를 살 필요가 없다는 얘기입니다. 이 요령은 나중에 설명을 하겠습니다.





밀라노의 Galleria Vittorio Emanuele 내부에서 환산화각 18mm 초광각 렌즈로 찍은 사진입니다.

유리 천장부터 바닥까지의 모든 공간을 담으려다보니 초광각 렌즈가 필요했습니다.

좌우의 벽이 바깥쪽 출구 방향의 소실점을 향해서 크게 각도를 이루고 있어서 원근감이 잘 

살아나고 공간의 깊이감을 느낄 수 있는 사진을 건질 수 있었습니다.




3-1-3 망원



제가 반복해서 언급하는 스마트폰으로 찍지 못하는 20%의 상황은, 어두운 조명 그리고 망원 화각, 이렇게 두 가지였습니다. 이중에서 망원 화각이 필요한 경우는 또 두가지로 나뉩니다.



* 멀리 떨어진 장소를 찍을때


여행지에서 내가 찍고 싶은 장소가 멀리 떨어져있을때, 광각으로 찍어서 피사체를 crop 하면 되겠지만, crop 한 결과물이 천만 화소 이하가 되버리면 화질이 떨어지기 시작하는게 보입니다. 2천만 화소 센서라면 1.4-1.5배 이상 크롭을 하기는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애초에 망원 렌즈로 찍는 수밖에는 없습니다.



* 배경은 필요없고 피사체 (그게 사람이던 물체이던)만 강조를 하고 싶을 때


망원 화각에서는 주변 공간의 입체적인 느낌이 사라지고 평면적으로 보입니다. 이때 비로소 배경 보다 피사체가 더 부각이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게다가 얕은 심도를 이용해서 배경을 흐리게 처리해 버리면 피사체만 부각이 되는 극적인 효과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저는 가족 사진을 찍을때, 이런 순서로 찍습니다. 이동하면서 광각렌즈로 배경과 함께 찍다가, 한자리에서 머무는 상황이 오면 대충 배경먼저 찍고나서, 망원렌즈로 바꿔서 가족의 인물 사진을 찍습니다. 




멀리 떨어진 피사체를 찍을 때, 위의 사진 같이 사진의 중앙에 아주 작게 찍히면 나중에 crop 을

아주 심하게 해야합니다. 당연히 화질이 크게 떨어지겠죠. 이 경우 애초에 망원 렌즈로 찍어야

 하는 이유입니다.

출처: borrowlenses.com



3-1-4 초망원


사람을 찍을 때는 흔히  85mm-200mm  정도의 망원 화각을 사용하면 충분합니다. 그 이상의 초점 거리를 가지는 망원 렌즈도 있는데요, 보통 200mm 가 넘어가는 초망원 화각은, 스포츠 경기장, 공연장, 또는 멀리 떨어진 야생 동물을 찍을 때 처럼 사진사와 피사체 거리가 가까와질 수 없는 상황에서 사용합니다. 


만약 가족 중 한명이 축구 팀에 들어갔거나, 공연장에서 연주를 한다면 어쩔 수 없이 300mm 수준의 초망원 렌즈가 필요할 것입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초망원 렌즈를 자주 사용할 일은 거의 없다고 하겠습니다. 여행중에 정말로 멀리 떨어진 피사체를 찍고 싶다면, 제가 앞서 설명했던 대로 가능한 한 줌으로 당겨서 찍은 후에 "화질이 떨어지지 않는 수준에서 crop 하기" 기술을 이용해서 충분히 초망원의 화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즉, 피사체가 되는 가족의 일원이 스포츠나 공연을 하느냐의 여부에 따라서 초망원 렌즈를 구매할지 말지를 결정하면 됩니다.



초망원 렌즈. 스포츠, 공연, 야생동물등... 이런걸 찍는 사진사라면 어쩔수 없이 구매해야 합니다. 

대안이 없으니까요.

단, 300mm 정도의 화각을 추천합니다. 300mm 로 찍고 후보정으로 절반정도 crop 하면 

대략 450mm 정도의 초점거리가 확보됩니다.

그 이상의 초점 거리 렌즈라면 물론 더 좋겠지만, 렌즈가 대략 이 정도 크기라서......




3-2 원근감


3-2-1 입체적인 배경의 느낌



원근감이 무엇인지는 다들 아실겁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3차원이라서, 사람의 눈에는 멀리 떨어진 물체와 가까운 물체가 다르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사진은 2차원 평면입니다. 사진이 프린트된 종이는 멀고 가까운 구분이 없이 모두 똑같은 거리입니다. 그럼에도 불고하고, 우리는 멀고 가까운 '느낌'을 2차원 평면에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미술 시간에 배운 원근감이라고 합니다. 원근감을 느끼는 원리는 2차원 상의 이미지위의 "물체들이 얼마나 소실점을 향해서 큰 각도을 이루는가" 에 의해서 결정이 됩니다. 


예를 들어서, 사진상에 기차길의 2개의 선로가 완전히 평행하게 표현이 되었다면 우리는 원근감을 느끼지 못합니다. 반대로 2개의 선로가 소실점으로 향해서 서로 큰 각도를 이루어지도록 사진을 찍었다면 우리는 강한 원근감을 느낍니다.




위의 사진은 소실점이 없이 철로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거리감각이 잘 표현되지 않았습니다.

아래 사진은 소실점을 향해서 두 철로가 큰 각도를 이루고 있어서 어디가 멀고 어디가 가까운지

 입체적인 공간의 느낌이 잘 표현되었습니다.




그럼, 사진을 찍을 때 배경이 되는 공간의 입체적인 느낌을 크게 느끼도록 찍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사진사가 배경이 가까이 다가가면 됩니다. 배경에 가까이 다가갈수록 배경이 배치된 물체들이 소실점을 향해서 큰 각도를 이루어지게 배치가 변한것처럼 보이거든요.


반대로 사진사가 배경에서 멀어질 수록, 배경을 이루는 물체의 배치가 서로 평행하게 바뀌면서 원근감이 사라지고 공간의 입체적인 느낌이 사라집니다.



사진찍는 요령. 배경의 입체감을 높이려면 .


* 입체갑을 높이려면 사진사가 배경속으로 가까이 다가가야합니다. 근데 배경 속으로 다가가서 배경을 모두 찍으려면 결국 넓은 화각 (광각) 렌즈를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 반대로 배경의 입체갑을 없애려면 사진사가 배경에서 멀리 떨어져야 합니다. 근데 배경에서 떨어지면 찍고자 하는 피사체가 너무 작아지므로 좁은 화각 (망원) 렌즈를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3-2-2 입체적인 얼굴의 느낌 (?)



공간의 입체감이 아니라 피사체의 입체감이라는 것도 생각을 해보아야 합니다. 지금 스마트폰을 켜고 셀카 모드로 카메라를 바꾼 다음에 스마트폰을 내 코를 향해서 가까이 가져와 보고, 또 반대로 스마트폰을 멀리 떨어뜨리는 실험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극단적으로 가까이 가져와서 내 얼굴 사진을 한번 찍고, 최대한 멀리 떨어뜨려서 얼굴 사진을 찍은 다음에 비교를 해보면 더 좋을것 같네요. 어떤 차이가 느껴지나요?


우선 당연히 사진상에 얼굴의 크기가 다릅니다. 가까이서 찍은 사진은 얼굴이 크게 나오고, 멀리 떨어뜨리고 찍은 사진은 얼굴이 작게 나오겠지요. 근데, 그거 말고 다른 차이가 보이지 않습니까? 같은 사람의 얼굴이 맞나 싶을 정도로 얼굴이 달라 보이지 않습니까?


가까이서 찍은 사진은 코가 크게 보이고 귀가 작아보입니다. 내 얼굴이지만 좀 이상하게 보이죠. 반면 멀리서 찍은 사진은 매우 정상적인 내 얼굴로 보입니다. 동일한 카메라, 동일한 렌즈로 찍은 사진인데, 카메라와 얼굴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이렇게 얼굴이 달라보이는 원리는 마찬가지로 원근감입니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카메라가 가까이 다가가면 얼굴의 입체감이 커지고요, 카메라가 멀리 떨어지면 얼굴의 입체감이 줄어듭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얼굴의 입체감이 커지면 이상하게 느낀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얼굴을 예쁘게 찍고 싶다면 일단 카메라를 좀 멀리 떨어뜨려서 찍는게 유리합니다. 근데, 카메라가 멀리 떨어질 수록 피사체가 작게 보이므로, 망원 렌즈로 확대해서 찍는 것이 편하겠죠? 인물 사진 찍을 때 망원렌즈를 사용해야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멀리 떨어져서 찍어야 얼굴이 자연스럽게 나오니까요.



인물 사진 찍을때 카메라를 피사체에 가까이 가져갈 수록 얼굴이 이상하게 보입니다. 

인물 사진은 멀리 떨어져서 찍을 수록 좋습니다.

출처 : Shutterstock





배경이 아닌, 인물을 강조해서 찍을때 망원렌즈가 좋은 이유.


* 사진사가 피사체와 떨어져서 사진을 찍어서 얼굴의 입체감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멀리 떨어져서 찍어야하니깐 망원렌즈가 유리합니다.


* 배경이 아니라, 피사체를 강조해야 하니깐 얕은 심도를 표현하는게 유리합니다. 얕은 심도는 망원 렌즈가 더 유리합니다.



아이폰 7+ 의 카메라는 2가지 렌즈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는 28mm 광각렌즈이고요, 또 다른 하나는 56mm 렌즈입니다. 표준에 가깝지만, 그래도 망원렌즈라고 볼 수 있는 화각입니다. 아이폰에서 인물 사진 모드를 켜면 56mm 렌즈로 사진을 찍게 됩니다. 그 이유가 바로 제가 설명한대로 인물 사진은 망원렌즈가 여러모로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결론.



상황에 따른 화각 (초점거리) 선택 요령.


* 배경이 중요할때는 가까이 다가가서 광각 렌즈로 입체감을 살린다.


* 인물이 중요할때는 멀리 떨어져서 망원 렌즈로로 입체감을 줄인다.


* 표준 화각? 평범한 우리는 이런거 잊어버려도 됩니다. 전문 사진가의 영역입니다.





관련 글.


2019/02/07 - [Man Cave] - 헝그리 아마추어의 사진 강좌 1부 - 카메라 구매 (1) 크롭 바디

2019/02/10 - [Man Cave] - 헝그리 아마추어의 사진 강좌 2부 - 카메라 구매 (2) 미러리스

2019/02/20 - [Man Cave] - 헝그리 아마추어의 사진 강좌 4부 - 렌즈 구매 (2)

2019/03/05 - [Man Cave] - 헝그리 아마추어의 사진 강좌 5부 - 또 구매하기!